t_no => 81 도서출판 세창출판사






수상 도서
[세창프레너미 010]
가다머 vs 하버마스
저 자 최고원
발행일 2021-05-13
판 형 변신A5
ISBN 9791166840234
페이지수 240
정 가 15,000




가다머는 인간의 ‘이해’가 선입견의 영향 아래 발생한다고 여겼다. 반대로 하버마스는 뒤에 가려진 문제를 밝혀내고 바로잡는 ‘비판적 반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따라서 선입견이 이해의 뒤에 숨어 있다면,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여겼다.
이해와 진리, 비판과 반성으로 맞부딪친 가다머와 하버마스. 두 사상가의 치열한 논쟁 속에서 우리는 ‘한계를 인정하려는 겸손’과 ‘한계를 넘어서려는 용기’ 모두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대립하면서도 상대에게 영향을 주며 자신을 성장시켜 온 대가들을 비교・대조하여 그들의 삶과 사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프레너미(Friend Enemy) 시리즈. 의사소통과 이해의 영역에서 두 사상가가 남긴 논쟁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자.

들어가는 말

제1장 학문적 판단도 완벽할 수 없다: 하이데거
1. 학문의 의미와 객관성의 문제
2. 객관적 판단의 일반적인 한계
3. 인식이론과 사람의 의식
4. 존재와 현존재
5. 존재와 현상

제2장 모든 이해는 선입견을 바탕으로 한다: 가다머
1. 학문적 지식과 진리의 문제
2. 현상 경험과 이해
3. 이해와 ...

펼치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몇 가지 고미을 안고 독일로 유학하여 마인츠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한 뒤에 아주대학교에 터를 잡고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며 이런저런 문제들을 고민하고 있다.

이해의 숙명 앞에서 맞부딪친 두 사상가, 가다머와 하버마스
‘한계를 인정하려는 겸손’과 ‘한계를 넘어서려는 용기’의 충돌
과연 인간에게 선입견 없는 이해가 가능할까?

가다머와 하버마스, 선입견을 두고 논쟁하다

가다머는 학문을 포함하는 우리의 모든 정신활동을 ‘이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역사성’을 고려할 때, 이해는 필연적으로 앞선 판단, 즉 ‘선입견’의 영향 아래에서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문적 방법으로는 결코 진리에 도달할 수 없으며, 오히려 이해의 발생과 경험, 그 자체가 바로 ‘진리 경험’인 셈이다.
하버마스는 어떤 것의 이면이나 배후의 문제를 밝혀내고 바로잡는 ‘비판적 반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는 선입견이 이해의 바탕인 한, 그것 역시 비판적 반...

펼치기

p.21 사람이 하는 판단은 그 형태와 종류 혹은 낱낱의 개별적 특성과 상관없이 모두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p.60 우리 의식에 드러나는 어떤 것, 그리고 그것에 작용하는 우리의 특정한 시각, 그 결과로서 우리의 이식에 ‘이해’가 발생한다.

p.103 하버마스는 반성에 비판의 기능을 부여하면서, 이를 비판적 반성이라 불렀다. [...

펼치기